top of page

4대 원소, 타로 덱의 구조.

최종 수정일: 2022년 8월 7일


ree


🔥💧🌪🪨 4대 원소를 상징하는 연금술 기호. 모두들 알고 계시듯 타로카드는 메이저와 마이너 카드로 나뉩니다. 형이상학적인 철학 개념을 상징하는 메이저 카드와 달리 마이너 카드는 현실적인 사건들을 다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상식들이 알려진 이유는 마이너 카드는 타로카드 세계관에서 물질계의 구성요소인 4대 원소로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웨이트 덱에서는 각각 지팡이, 컵, 검, 오망성으로 4대 원소를 표현하고 있는데, 어째서 이러한 상징물들이 채택되었는지는 설명하는 곳이 많지 않습니다.


ree


메이저 아르카나 1번 마법사 카드에도 이들이 등장한다는 사실은 타로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겁니다. 별다른 비밀이 아니라 여기에 정답이 있습니다.

ree

🧙‍♂️ 마법 제례에 사용되는 제단 타로카드는 유럽의 오컬트(신비주의)에서 탄생한 도구입니다. 흔히 '마법사'라고 불리우는 이들은 고유한 철학을 갖고 있었으며 제단을 세우고 종교적인 의식을 행했습니다. 바로 이러한 제례에 사용되는 것이 4개의 상징물입니다. 라이더-웨이트 덱의 제작자인 A.E. 웨이트는 이러한 철학에 심취한 저술가였습니다. 본인이 소속된 단체의 신비주의 철학에 기반하여 타로카드를 제작했고, 당연히 해석을 할 때에도 오컬트 테마를 알아야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모든 타로카드가 신비주의 전통을 따르는 것은 아닙니다. 타로의 종류에 따라서 상징물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입니다.

ree

이것은 HBO 드라마 <왕좌의 게임>을 바탕으로 한 왕좌의 게임 타로에서 에이스 카드들만 모아놓은 사진입니다. 소드와 컵은 웨이트 덱과 같지만 불을 상징하는 상징물에는 창(스피어)이, 땅을 상징하는 상징물로는 동전(코인)이 선택되었습니다. 이러한 상징물 변경은 카드 해석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웨이트 덱의 '지팡이'는 잎사귀가 달린 생명의 상징이지만 왕좌의 게임에서는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창으로 변경됨으로서 불의 위험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또한 마법도구인 오망성과 달리 현실적인 화폐인 동전(코인)은 실물 화폐이기 때문에 웨이트 덱에서 신용, 저작권 등의 무형자산이 땅의 원소에 포함되는 것과 달리 이러한 무형의 가치를 지닌 재산을 뜻하는 의미는 동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마이너 카드는 덱의 테마를 반영하기 때문에 상징물만 살펴도 해당 덱이 세상을 바라보는 철학(관점)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덱을 가지고 계시다면 이러한 차이점에서 어떤 의미가 달라지는지 알아보시기를 권합니다.

 
 
 

댓글


은자학회 본부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 493 남산빌딩 지하

Email(내무원) scholaeremitae@gmail.com

©2022 by Schola Eremitae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