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나의 타로 일지를 만들기 - 배열 기록지

최종 수정일: 2022년 8월 7일


ree

지난 칼럼에서 초보자를 위한 수련법인 데일리 리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공부에 큰 도움이 되는 방법 중 하나인 배열 기록을 소개하겠습니다. 타로 상담을 하고 나면 가끔 말하지 못하고 놓친 해석이 생각나는 상황이 생깁니다. 그럴 때 배열 전체를 기억하는 숙련자들은 복기를 빠르게 해서 보완하기도 하지만 초보자들은 10장은 고사하고 3장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요. 이럴 때 유용한 것이 배열 기록입니다. 1. 차트로 기록하는 방법 가장 기초적인 기록법입니다. 카드 약어를 써서 카드를 기록하면 한줄의 기록으로도 배열 전체를 저장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카니타로 사이트를 이용해서 배열을 그림으로 펼쳐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메이저 카드(M)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0 21 마이너 카드(m) 코트(Court) * 완드(w) Pw Nw Qw Kw * 컵(c) Pc Nc Qc Kc * 소드(s) Ps Ns Qs Ks * 펜타클(p) Pp Np Qp Kp *기사(Knight)는 킹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N으로 표기 핍(Pip) * 완드(w) Aw 2w 3w 4w 5w 6w 7w 8w 9w 10w * 컵(c) Ac 2c 3c 4c 5c 6c 7c 8c 9c 10c * 소드(s) As 2s 3s 4s 5s 6s 7s 8s 9s 10s * 펜타클(p) Ap 2p 3p 4p 5p 6p 7p 8p 9p 10p 3카드 예시 6-3p-Kc 켈틱크로스 예시 Aw-2p-Ns-14-5-18-Ks-4w-3s-8w *스프레드 순서대로 나열 *역방향은 약어 뒤에 (R)로 표기 약어를 사용하면 쉽고 빠르게 배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타로 입문자라면 반드시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2. 질문과 해석 기록하기 숙련자들은 기록된 배열만 가지고도 다시 해석할 수 있지만 초보자들은 과거의 해석을 돌아보고 반성을 통해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석을 기록해둬야 합니다. 물론 숙련자와 초보자를 막론하고 질문은 필수적으로 기록해야겠지요. 언제 해석을 했는지 알고 싶을 수도 있기에 날짜를 기록하는 것도 좋습니다. 질문자나 주체의 개인정보는 유출될 경우 윤리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선택사항이지만 자세한 분석을 위해 기록하는 것을 선택했다면 타인이 함부로 열람할 수 없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배열 기록지의 기본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날짜 : (선택사항) 질문자와 추체 질문 내용 : 차트(약어 기록) 해석 :

ree

자신만의 양식을 만들어서 다이어리로 만들어도 좋다.

최근에는 어플과 폰 카메라 덕분에 사진이나 스크린샷으로 배열을 저장하는 분들이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메모를 하기가 불편한 까닭에 내용은 기록하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습관은 카드 공부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초보자 분들께서는 필기나 메모 어플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댓글


은자학회 본부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 493 남산빌딩 지하

Email(내무원) scholaeremitae@gmail.com

©2022 by Schola Eremitae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